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꿩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의 꿩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순남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남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은 총 72호 264명의 주민들이 전답 농업과 바다일을 하며 사는 반농반어의 마을.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으로 간다. 부녀자들의 민요를 총 70여 편 정도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에서 채집한 꿩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남이 참여하였다. 전승 상태가 매우 좋은 꿩타령. 꿩의 입장에서 인간사를 바라본 내용. 여성/까투리의 입장에서 남성/장끼의 권위주의적인 횡포와 그로 인한 파탄을 우의적으로 지적한 노래이다. |
가사 | 꿩의 몸으 생길 적에
대동 공단 짓을 달아 초록 꼭지 동정 달아 아홉 아들 아홉 딸을 앞을 세고 뒷을 세고 주섬주섬 줏어 가니 앵두 같은 붉은 콩이 여그도 놓이고 저그도 놓이고 어따 그 콩일랑 수상하네 먹지 마오 먹지 마오 그 콩일랑 수상하오 지집이 도장하면1) 집안에 화목하들 못하니라 두 번일랑 컥 찍으니 창고2) 소리가 여전하네3) 창고 소리가 여전하디이 섯바닥을 쑥 빼갖구 응등이 다리 다 덜렁거리고 차고 가니 이내 신세 어이 할꼬 공중으로 오리자니 매가 무사 못 오리고 산천으로 오리자니 포수 무사 못 오리고 이내 신세 어이 하나 솔개 한 마리 후루룩 날라오드이 당신도 홀애미요 나도 홀애비요 당신하고 나하고 살믄 어떠하오 마오 마오 그 말 마오 있는 집간4) 조열미5) 는 염통 산적이 조열미다 없는 집간 조열미는 상추쌈이 조열미다 가면 가고 말면 말지 솔개 남편을 얻어갈소요 1) 도장하면: 아무 일에나 휘두르고 나서서 잘난 체하면. 2) 창고: 차꼬. 족쇄. 형구의 하나. 3) 여전하네: 요란하네 ? 4) 있는 집간: 재물이 있는 집간. 5) 조열미(朝列米): 문관 관리들의 식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