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9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39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1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9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131230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9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39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39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13년12월30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 제39집(第39輯)이다. 본 책은 총404쪽으로 구성되어있다.
일반논문 권오경, 문화기억과 기억융합으로서의 아리랑 김승우, 19세기말 의료선교사 엘리 랜디스(Eli B. Landis)의 한국민속 연구와 동요 채록 김영운,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 : 음원·악보자료에 의한 악곡유형 분류 김혜정, 음악학적 관점에서 본 아리랑의 가치와 연구의 지향 박경수, <범벅타령>의 전승 양상과 담론 특성 박지애, 영남지역 시집살이노래의 특징과 문화적 가치 : <중노래>와 <양동가마> 유형을 중심으로 이용식, <진도아리랑>의 대중화 과정에 끼친 대중매체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창식, 아라성의 분포와 전승 장유정, 일제강점기 만요(漫謠)를 통해 본 서민들의 삶과 문화 정한기, 영호남 지역 <모심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배경 조순현, 충북지역 아라리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성 연구 평론 권오경, '고래야'가 다시 부른 <불러온 노래> 손인애, 향토민요의 음악적연구 추이와 과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