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거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의 거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복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복례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은 총 72호 264명의 주민들이 전답 농업과 바다일을 하며 사는 반농반어의 마을.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으로 간다. 부녀자들의 민요를 총 70여 편 정도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에서 채집한 거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복례가 참여하였다. 전승 상태가 좋은 거미타령. 거미가 실을 풀어 집을 지어 먹이를 기다리는 모양을 보고, 거기에서 다양한 상상력을 발휘하여 그것과 관련된 사물들을 연결시켜 노래하고 있다. |
가사 | 거무야 거무 왕거무야
청룡 황룡 둘러타고 귀경 가 귀경 가 어디 봉으로 귀경 가 자두봉으로 귀경 가 툇깡문1) 을 열고 보니 자두새가 우는구나 우리도야 어느 때는 저 새소리를 맞혔건만 각시님이 되걸랑은 저 새소리를 잊었구나 이만헌 잔치 왔다가 그냥으 갈 수 있느냐 술이나 한 탕 불러 봐라 술일랑은 불렀시나 제육점2) 을 불러 봐라 대양판에 갈비대 쇠양판이 제육점 제육일랑 불렀시나 탕일랑은 불러 봐 집이로 들어 영기탕3) 산이로 들어 꿩탕 개열4) 으 들어 개우탕5) 들로 들어 오도리 포도리 매초리탕 탕일랑은 불렀시나 너물 채소를 불러 봐 주먹 같다 꼬사리너물 고부자 장장 콩너물 천방지방 호박너물 이 골 저 골 고구마너물 뺑뺑 돌아라 돌가지너물6) 한 냥으 두 냥 양해너물7) 한 돈 두 돈 돈너물 한 푼 두 푼 풋너물 들었다 놓았다 잡채너물 얼었다 녹았다 녹두채너물 한 돈 두 돈 돈너물 너물 채소는 불렀시나 실괄랑은 불러 봐 충청도라 충복숭 강당에 감대추 주지가지가 열렸고나 붉으나따나 홍실롱 푸르나따나 청동감 궁그러간다 쪼개라 1) 툇깡문: 되창문(?). 2) 제육점: 저육전(豬肉煎). 3) 영기탕: 연계탕(軟鷄蕩), 영계탕. 4) 개열: 개울. 5) 개우탕: 거위탕. 6) 돌가지너물: 도라지나물. 7) 양해너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