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앞밭에다 꼬치를 갈아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의 시집살이노래-앞밭에다 꼬치를 갈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1031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전라북도 > 고창군 |
생산지역 상세 | 심원면 하전리 상전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2 , 시집살이노래 , 앞밭에다꼬치를갈아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시집살이한탄 , 전라북도 , 전북 , 고창군 , 1991 , 1995 , 앞밭에다 꼬치를 갈아 , 장복례 , 독창 , |
실연자 | 장복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남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은 총 72호 264명의 주민들이 전답 농업과 바다일을 하며 사는 반농반어의 마을.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으로 간다. 부녀자들의 민요를 총 70여 편 정도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에서 채집한 앞발에다 꼬치를 갈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복례가 참여하였다. 집안 여인들의 잘못이 모두 며느리의 잘못으로 처리되는 시집살이의 고통을 노래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다리를 부러뜨린 시누이의 잘못이 며느리의 잘못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 노래는 창자가 어려서 어른들에게서 배운 노래라 한다. |
가사 | 앞밭에다 꼬치를 갈아
뒷밭이다 마늘을 심어 꼬치같이 맵다 히도 시누같이도 매울쏜가 죽신같이 곧다 히도 시아바이같이도 꼿꼿허리 모주박1) 같이도 깔끄라도 시어머이같이도 껄끄랄까 아홉 식구 사는 식구 나내로만 넘이로세 후타리 밑의 호박은 무름허다 히어도 동세같이도 으뭉허리 시누아기 꺾은 상발2) 나내로만 넘이로세 석 재 시 치 반포 수건 사랑발이3) 걸어 놓고 들랑날랑 눈물딲기 다 녹는다 아홉식구 사는 식구 나내로만 넘이로세 시누아기 꺾은 상발 나내로만 넘이로세 1) 모주박: ? 2) 상발: 상(床) 다리. 3) 사랑발이: 살강발에, 살강 끝에. 살강은 부엌의 벽 중턱에 드린 선반으로 그릇을 얹어 두는 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