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똥그랑땡, 잴잴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강강술래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전라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의 강강술래노래-똥그랑땡 · 잴잴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전라북도편은 CD 12장, 254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복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순남 |
지역개관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은 총 72호 264명의 주민들이 전답 농업과 바다일을 하며 사는 반농반어의 마을. 장은 해리장을 보고, 큰 장은 고창으로 간다. 부녀자들의 민요를 총 70여 편 정도 채록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3월 18일에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하전리 상전에서 채집한 똥그랑땡, 잴잴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장복례가 참여하였다. 두 가지 놀이가 이어지는 놀이. 앞부분인 똥그랑 땡은 서로 손잡고 뱅뱅 돌면서 앞사람이 소리를 메기고 나머지는 모두 후렴을 받으며, 뒤의 잴잴잴하는소리는 두 사람씩 마주보고 서로 손바닥을 마주치면서 차례차례 순서대로 불러나간다. 동그랑 땡은 동물의 생긴 모습을 인간사에 비유하는 익살스런 사설과 곡조로 잔치판 등에서 흥을 돋구기 위해 재미삼아 부르는 노래이다. 이 마을에서는 동그랑 땡이 강강술래 놀이의 일부로도 들어가 있다. |
가사 | 똥그랑 땡 똥그랑 땡
얼싸 절싸 잘 넘어간다 똥그랑 땡 똥그랑 땡 지비란 놈은 모냥이 고와 기상으 깜으로 돌려라 똥그랑 땡 똥그랑 땡 얼싸 절싸 잘 넘어간다 똥그랑 땡 똥그랑 땡 가마귀란 놈 모냥이 검어 국수감으로 돌려라 똥그랑 땡 똥그랑 땡 얼싸 절싸 잘 넘어간다 황새란 놈은 고개나 질어 어깨 너메로 돌려라 똥그랑 땡 똥그랑 땡 얼싸 절싸 잘 넘어간다 깐치란 놈은 집을 잘 지어 목수감으로 돌려라 똥그랑 땡 똥그랑 땡 얼사 절싸 잘 넘어간다 하나라면 할머니가 지팡을 짚고서 잴잴잴 둘이라면 두부장사가 두부를 사라고 잴잴잴 셋이면은 새저리1) 가 빙아리 찬다고 잴잴잴 넷이면은 네거리서 주막으서 술을 먹는다고 잴잴잴 다섯이면 다롬쥐가 알밤을 깐다고 잴잴잴 여섯이면 여학생이 학교를 간다고 잴잴잴 일곱이믄 일본놈이 쌈을 헌다고 잴잴잴 야달이면 야달 놈이 쌈을 허자고 총칼을 매고서 잴잴잴 아홉이믄 아홉 군인이 전쟁을 헌다고 잴잴잴 열이면은 여럿 놈이 군인이 간다고 잴잴잴 1) 새저리: 새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