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밟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밟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조천읍 신촌리의 밭밟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창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허창수 |
지역개관 | 선사시대 이래 조천읍 신촌리 일대에 사람이 모여 살게 된 동기는 토질에 있었다. 바다가 있는 북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토양이 2-7%의 경사도 밖에 안되어 농사짓기에 적당하였고, 제주도에서는 1급 토양들에 속하는 밭들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따비질만 하더라도 쌍따비를 쓸만큼 농사짓는 조건이 좋았고, 경작지 규모는 조천읍 일대의 마을에서는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이다. 이런 요소들이 일찌감치 붙박이 토족들을 생겨나게 하였고, 농사에 실패하여 남의 밭을 소작하여 생계를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몰려와 또한 정작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배경에 힘입어 신촌리는 이웃한 함덕, 김녕등과 더불어 사회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고 유교문화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31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조천읍 신촌리에서 채집한 밭밟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창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밭에 씨앗을 뿌린후 말떼를 몰아 밟아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메마른 토지를 극복하기 위한 제주특유의 농사법이 낳은 노래이다. 앞소리가 밭 밟기 실태를 잘 노래하고 있는 가운데 씨를 뿌리는 아낙네의 덧붙여 메기는소리도 현장 분위기를 잘 나타낸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101북제주군조천읍신촌리밭밟는소리_19890131.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