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염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출상전야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조천읍 신촌리의 대도돔소리-염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창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허창수 |
지역개관 | 선사시대 이래 조천읍 신촌리 일대에 사람이 모여 살게 된 동기는 토질에 있었다. 바다가 있는 북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토양이 2-7%의 경사도 밖에 안되어 농사짓기에 적당하였고, 제주도에서는 1급 토양들에 속하는 밭들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따비질만 하더라도 쌍따비를 쓸만큼 농사짓는 조건이 좋았고, 경작지 규모는 조천읍 일대의 마을에서는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이다. 이런 요소들이 일찌감치 붙박이 토족들을 생겨나게 하였고, 농사에 실패하여 남의 밭을 소작하여 생계를 유지하려는 사람들이 몰려와 또한 정작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배경에 힘입어 신촌리는 이웃한 함덕, 김녕등과 더불어 사회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고 유교문화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31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조천읍 신촌리에서 채집한 염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창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행상 소리의 일종으로 꽃염불이라고도 한다. 젊은 사람이 요절했거나, 마을에 공헌한 사람이 사망했을 때 마을 사람들이 장례 전날 빈상여를 맨 채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부른다. 제주도 전역에 분포. |
가사 | 야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야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이산저산 양산간에 울고야 가는건 곡성이로라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나도어제 청춘일러니 오널이야 벡발은 더욱설코나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어제오널 성턴몸이 저녁나절에 병이나 들어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부르나니 어머니요 찾는것이라 냉수로구나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인생한번 죽어지면 세상만사가 허사로구나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등장가자 등장을 가자 하나님전에다 등장을 가자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늙으신 양반 죽지를 말고 젊으신 홍안을 꺽이지말라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어떠한 연유로 등장을 가나 이러한 연유로 등장을 가자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저싕길이 멀다드니 창문밖에가 저싕이로다 아헤 어허이 어허야 얼럴럴거려서 염불이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