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맷돌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맷돌질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의 맷돌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수천, 김찬규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고수천, 나/김찬규 |
지역개관 | 이원진의 <탐라지>(1653년 발간)에 따르면 조천이란 마을 이름은 조천 포구가 육지부에 출항하는 사람들의 풍향관측소였다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조천 포구의 성격을 이야기해 주는 일화들이 많다. 전설에 따르면 고후 삼형제가 바다를 건너 신라에 조공하려 떠났던 포구도 조천이며, 불로장생약을 얻기 위해 중국의 서시일행이 조천포구에 상륙하기도 했다. 그들은 바닷가에 상륙하자마자 바위에 조천석이라고 새겨놨는데, 동사강목에는 고려사 지리지를 인용하면서, 고구려 동명왕이 기린마를 타고 기린굴을 지나 조천석 위에서 하늘에 올라가곤 했었다는 대목이 있다. 동사강목에서드러나고 있는 조천(朝天)이란 인간세상과 하늘을 연결하는 다리이며, 입구라는 의미가 강하다. 조천의 의미를 더욱 구체화하면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통로가 된다. 제주근해의 조류와 풍향을 살펴보면 애월이나 조천은 육지와 통하는 적절한 포구였다. 더구나 조천포구는 암초가 파도를 잘 막아주어 포구로서는 최적지였다. 조천이 연륙교통의 요충으로 인식되면서 특유의 관변문화가 생겨나는 계기가 되었다. 수많은 유배객, 공무를 수행하며 들어오는 관리들, 또한 섬을 나가는 사람들... 제주섬을 오가는 수많은 관리들이 바다를 건너기에 알맞은 바람이 불어오길 기다리는 사이에 조천사회는 특유의 관변문화가 500년간에 걸쳐 정착하게 된 것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30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에서 채집한 맷돌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수천, 김찬규가 참여하였다. 맷돌질노래는 여성들만의 은밀한 공간에서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기에 훨씬 서사적이다. 맷돌을 함께 돌리고 있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사설이 달라지게 마련인데, 시어머니와 함께 맷돌을 돌리고 있다면 며느리는 겨우 뒷소리를 받는 정도에서 머물 것이고 친정 가족이나 이웃 아주머니와 함께 맷돌질을 하고 있다면 시집살이의 서러움, 과부생활의 고독 등 보다 은밀한 노래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 노래는 실제 맷돌질하며 노래하고 있어 현장 분위기가 뛰어난 데, 특히 고수천 할머니의 가락이 두드러진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108북제주군조천읍조천리맷돌질소리_19890130.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