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꼴베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조천읍 선흘리의 꼴베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인배, 김형조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고인배, 나/김형조 |
지역개관 | 조천읍 선흘리는 전형적인 중산촌이다. 논은 없고 밭의 면적이 190ha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토지가 1,354ha에 달하는 임야다. 마을은 분지형으로 되어있어 제주도내에서 바다가 보이지 않는 몇 안되는 중산촌 마을이다. 마을의 동북쪽에는 원시림지대인 선흘곶이 있다. 이 지역은 나무가 울창하여 마을사람들은 대부분 이 선흘곶에서 집지을 재목을 마련했다. 그 이후에 1900년 초에 이르러 왕성한 화전농사로 인해 원시림은 황폐화되고, 그 이후에 자라난 나무가 선흘곶의 식생의 주역이 되고 있다. 이미 1930년대에 이르러 집지을 나무는 물찻오름에서 베어왔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3월 9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조천읍 선흘리에서 채집한 꼴베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인배, 김형조가 참여하였다. 전형적인 동부제주의 꼴 베는 노래이다. 두 사람이 서서 날의 길이가 60㎝가 넘고 낫의 자루가 어른 키 만한 큰 낫을 휘둘러 제주 들판에 무성한 억새 등의 꼴을 베어다 가축먹이나 퇴비로 쓴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201북제주군조천읍선흘리꼴베는소리_19890309.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