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노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리의 해녀 노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경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경성 |
지역개관 | 구좌읍 동김녕리는 탐라국시대에 이미 행정소재지인 현청이 있었던 곳으로 역사가 오랜 마을이다. 마을 본향신의 좌정역사를 감안하면 탐라국시대에 경상도 지방을 잇는 교통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조선 중기에 다다를 때까지 김녕리는 동부제주로 진출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마을 가까이 암반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농경지는 대부분 마을 주변에 있는 가름팟이다. 토질을 좋지 않은 편이나 주민들이 악착스럽다고 할 만큼 근면 성실한 자세로 어려움을 이겨냈다. 해초를 밭에 뿌려 지력을 높히는 한편 멸치뗴를 사로잡아 생산성을 높혀갔다. 제주도내 대부분 마을이 춘궁기를 견디지 못하는 대신에 김녕사람들은 부지런한 생활태도로 늘 곡식을 빌려주는 입장이 되곤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23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리에서 채집한 노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경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사공들에 의해 불러지던 노래를 잠녀들이 즐겨 부르게 되면서 잠녀들의 노래로 인식이 바꿔지게 된 노래이다. 노를 젓는 기능에 알맞게 노래가 역동적이다. 동김녕의 노 젓는소리는 두 팀으로 나누어 노를 저어갈 때 부르는 전형적인 노래인데 쳐라 쳐라하는 부분은 선소리꾼이 분위기를 바꾸어 힘을 다시 모으려는 의도를 갖고 있는소리이다. 이때 앞소리꾼이 쳐라쳐라하면서 힘껏 한쪽 발로 배의 갑판을 내지르면 뱃전이 쿵하고 요란스럽게 울리고 그 소리에 심기일전된 뒷소리꾼들이 역시 같은 몸동작을 하면서 목청껏 노래하게 된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204북제주군구좌읍동김녕리해녀노젓는소리_19890123.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