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멸치후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대표어업 > 멸치잡이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리의 멸치후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경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경성 |
지역개관 | 구좌읍 동김녕리는 탐라국시대에 이미 행정소재지인 현청이 있었던 곳으로 역사가 오랜 마을이다. 마을 본향신의 좌정역사를 감안하면 탐라국시대에 경상도 지방을 잇는 교통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조선 중기에 다다를 때까지 김녕리는 동부제주로 진출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마을 가까이 암반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농경지는 대부분 마을 주변에 있는 가름팟이다. 토질을 좋지 않은 편이나 주민들이 악착스럽다고 할 만큼 근면 성실한 자세로 어려움을 이겨냈다. 해초를 밭에 뿌려 지력을 높히는 한편 멸치뗴를 사로잡아 생산성을 높혀갔다. 제주도내 대부분 마을이 춘궁기를 견디지 못하는 대신에 김녕사람들은 부지런한 생활태도로 늘 곡식을 빌려주는 입장이 되곤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23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리에서 채집한 멸치후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경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멸치를 후릴 때 그물을 당기면서 여럿이 하는소리이다. 동김녕리의 멜 후리는소리는 기본선율로 양택달구 소리와 서우젯소리를 채택하고 있는 점에서는 산북지방의 해촌들, 특히 동귀,조천,신흥,함덕,월정 등에서 사뎃소리를 채택한는 것과 큰 비교가 된다. 사설이 뛰어나 멸치후리는 과정과 작업실태, 만선을 맞이한 기쁨 등이 잘 드러나고 있다. 끝부분에 서우젯 소리로 연결되면서 축제적 분위기가 가열된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205북제주군구좌읍동김녕리멸치후리는소리_19890123.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