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3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43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1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3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150430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3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3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43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15년 4월30일에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 제43집(第43輯)이다.
일반논문 김익두, '한국민요이론'의 체계화 방안 시론 박지애, 영남지역 서사형 시집살이노래의 통시적 변화와 특징 : <중이 된 며느리> 유형을 중심으로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의 전승양상과 향유의식 비교 : 가족 관계 유형을 중심으로 양옥경, 북한의 음악사 인식 기조와 기술 양상분석 이영식, 횡성지역 회다지소리의 전승 기반과 과제 : 사설을 중심으로 조석연, 아산아리랑과 광복군아리랑의 기원에 대한 연구 한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서의 민요 지도에 관한연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