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찧는소리(남방아)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방아찧기 > 방아찧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구좌읍 송당리의 방아찧는소리(남방아)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계선, 고순선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이계선, 나/고순선 |
지역개관 | 구좌읍 송당리는 제주도 마을 신앙의 메카라고 할 수 있다. 교래리를 거쳐 송당리에 정착한 아버지 신인 소천극과 어머니 신인 금백조는 18명의 아들과 28며으이 딸, 387명의 손자를 슬하에 두었다. 이들이 제주도내 여러마을에 퍼져 마을 본향당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탓으로 해마다 음력 1월13일에 행해지는 신과세제는 이 마을의 제반사를 관장하는 본향신을 위한 신년제이기에 이 날에는 신앙민들마다 제물을 준비하고 모여서 무당에 의하여 마을의 안녕과 생업의 풍요를 기원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21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구좌읍 송당리에서 채집한 방아찧는소리(남방아)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계선, 고순선이 참여하였다. 여인들이 나무로 만든 절구통에 곡식을 넣고 찧을 때 부르는 노래이다. 보통 혼자나 두사람이 찧지만 잔치집에서 처럼 많은 양의 곡식을 장만해야 할 대는 여러 사람이 동원되어 방아를 찧게 되는 데, 두사람이 방아를 찧으면 두콜방에,세사람이 찧으면 세콜방에,네사람이 찧으면 네콜방에라고 한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302북제주군구좌읍송당리방아찧는소리남방아_19890121.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