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통나무깎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목공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구좌읍 송당리의 통나무깎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정봉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허정봉 |
지역개관 | 구좌읍 송당리는 제주도 마을 신앙의 메카라고 할 수 있다. 교래리를 거쳐 송당리에 정착한 아버지 신인 소천극과 어머니 신인 금백조는 18명의 아들과 28며으이 딸, 387명의 손자를 슬하에 두었다. 이들이 제주도내 여러마을에 퍼져 마을 본향당신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탓으로 해마다 음력 1월13일에 행해지는 신과세제는 이 마을의 제반사를 관장하는 본향신을 위한 신년제이기에 이 날에는 신앙민들마다 제물을 준비하고 모여서 무당에 의하여 마을의 안녕과 생업의 풍요를 기원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21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구좌읍 송당리에서 채집한 통나무깎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정봉이 참여하였다. 도끼나 톱으로 나무를 베어낸 다음 아귀에 잘 맞도록 자귀로 나무를 깎아 내면서 하는소리이다. 귀자귀질소리, 자귀질소리라고도 한다. 목수들의 노래였던 것이 점차 일반에 보편화된 것으로 보인다. 사설은 작업 실태를 설명하거나 길가는 아낙네에게 나무쪼가리가 튄다는 경고를 곁들이기도 한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303북제주군구좌읍송당리통나무깎는소리_19890121.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