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디야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성산읍 삼달2리의 밭매는소리-상사디야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재흡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재흡 |
지역개관 | 성산읍 삼달2리는 속칭 주어라고 한다. 앞바다에 다양한 어종의 물고기떼가 몰려들어 이 같은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설촌역사는 이백년이 채 되지않은 마을로 고기잡이를 주된 업으로 하는 이들이 몰려들어 촌락을 이루게 되었다. 마을의 설촌 초기에 이곳은 나무 한그루없는 들판이었다. 설촌조들은 먼저 집을 짓기보다 돌담을 세우고 나무를 옮겨심었다고 전해진다. 바람을 의지할 곳이 생겨나자 마을은 제대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그래서 주민들의 나무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3월 20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성산읍 삼달2리에서 채집한 상사디야요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재흡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남지방의 모심는소리인 상사소리가 제주민의 토리에 맞게 변형되면서 밭매는 노래로 정착된 노래이다. 삼달리에서는 얼러러 상사뒤야요라고 칭하기도 하고, 육지에서처럼농부가라고도 부른다. |
가사 |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농부로다 농부로다 천하지대본이 농부로다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요 농사를 지어다가 어느야 부모를 살릴소냐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잠대1) 들러 밧 잘 갈면 농부한이다 노념2)이요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붓대 들러 글 잘 쓰면 선비 한이다 노념이요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장귀3) 매여 장귀 잘 치면 한량 한이다 노념이다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만귀청산4)늙은 범이 살찐 암캐를 물어다 놓고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진시황자 아방국5)에 미참하여 남아 있던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천년송도 아니웨다 만년폭도 아니웨다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한무제 승노반에 미참하여 남아 있던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만년폭도 아니웨다 천년송도 아니웨다 엉헝 어허요로 상사디야요 1) 쟁기 2) 놀이 3) 장고 4) 만고청산 5) 아방궁에 6) 저 밤중에 7) 내려와서 誕降하되 8) 한라산에 9) 아름드리 혹 10) 띄워놓으면 11) 갈데 올데 12) 수눌어 일하는 두레접의 역군들 13) 품절된 물품, 희귀한 물품 14) 仁을 행하고 善을 행함 15) 귀화하여 온 자 16) 그만 저만 마쳐 놓읍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