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담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성산읍 삼달2리의 밭매는소리-담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재흡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재흡 |
지역개관 | 성산읍 삼달2리는 속칭 주어라고 한다. 앞바다에 다양한 어종의 물고기떼가 몰려들어 이 같은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설촌역사는 이백년이 채 되지않은 마을로 고기잡이를 주된 업으로 하는 이들이 몰려들어 촌락을 이루게 되었다. 마을의 설촌 초기에 이곳은 나무 한그루없는 들판이었다. 설촌조들은 먼저 집을 짓기보다 돌담을 세우고 나무를 옮겨심었다고 전해진다. 바람을 의지할 곳이 생겨나자 마을은 제대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그래서 주민들의 나무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3월 20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성산읍 삼달2리에서 채집한 담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재흡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원래 담불이라고 함은 제주무가 <맞이굿>의 막판에 나오는 석살림굿에서 조상신을 즐겁게 놀리는 대목의 노래 이름이다. 노래의 내용은 조상본풀이로서, 이것을 담불소리로 부르기도 하고 서우젯 소리로 부르기도 하는 데 조상신이 생전에 신앙과 관련된 직업(삼신할망,점쟁이,스님,무당)에 종사했다면 담불소리로 부르게 된다. 이것이 민간에 전승되어 밭매는 노래로 성읍 일대에서 불려졌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317남제주군성산읍삼달2리밭매는소리담불소리_19890320.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