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선유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성산읍 삼달2리의 선유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갑돌, 강성태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고갑돌, 나/강성태 |
지역개관 | 성산읍 삼달2리는 속칭 주어라고 한다. 앞바다에 다양한 어종의 물고기떼가 몰려들어 이 같은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설촌역사는 이백년이 채 되지않은 마을로 고기잡이를 주된 업으로 하는 이들이 몰려들어 촌락을 이루게 되었다. 마을의 설촌 초기에 이곳은 나무 한그루없는 들판이었다. 설촌조들은 먼저 집을 짓기보다 돌담을 세우고 나무를 옮겨심었다고 전해진다. 바람을 의지할 곳이 생겨나자 마을은 제대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그래서 주민들의 나무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3월 20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성산읍 삼달2리에서 채집한 선유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갑돌, 강성태가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성산 일대에서만 발견되는 데 다른 지역에서는 흥생이 소리(적당히 흥얼거리는소리)로 알려져 있다. 돛단배가 항해를 할 때 항해에 도움을 주는 바람이 불어오면 어부의 마음은 즐겁기 한량없다. 이 때 부르는 노래가 선유가다.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는 옛 정의 사람들이 만들어 낸 노래라고 할 수 있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319남제주군성산읍삼달2리선유가_19890320.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