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홍애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1리의 밭매는소리-홍애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을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을선 |
지역개관 | 표선면 성읍1리는 1423년 정의현청이 옮겨오면서 정의골로 불려지게 된다. 중산촌인 정의골은 오랜 기간동안 관변문화가 마을 주민들 생활에 영향을 끼치면서 특유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토질은 마을주변의 밭에서만 시비의 정도에 따라 보리농사가 가능했고, 조, 메밀, 육도 등의 농사를 지었다. 재산이 넉넉한 이들은 좋은 목초지가 지척에 깔려있어 50수 이상 마소를 키우는 이도 적지 않았다. 주민들이 화전놀이를 간 것은 아니지만 정의골의 관료들이 경치좋은 정소암에서 꽃놀이를 하는 것이 한눈에 들어왔고, 더불어 소리좋은 기생들의 목소리가 가까운 밭에서 김매는 여인들 사이에서 전달되어져 왔다. 전통적으로 성읍리 사람들은 노래를 잘 한다고 인근 마을에 알려져 있다. 소리 잘 하는 이를 유전한 탓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기녀들의 소리를 수용하고 따라 불렀다는 점이 그들도 노래를 잘 하게 된 배경으로 보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6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1리에서 채집한 홍애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을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홍애기가 밭 매는 노래로 불려지는 지역은 옛 정의지방 중에서도 지금의 성산읍 일부와 표선면,남원읍 그리고 서호리와 호근리를 경계로 동쪽 서귀포 일대이다. 이 노래는 솔기소리라고도 하는 데, 종교적 기능이 있기 때문에 앞소리는 남자들이 해야 한다고 주민들이 믿고 있다. 성읍 1리 조을선 할머니의 사설은 한라산에서 시작하여 명혈을 따라 밭까지 이어지는 풍수지리적 내용으로 전개되는 솔기소리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이런 홍애기류의 솔기소리는 다른 노래에 비하여 독특한 가창방법을 가지고 있다. 노래의 끝말을 콧소리로 끝내는 것이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402남제주군표선면성읍1리밭매는소리홍애기_19890526.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