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맷돌질소리, 고래고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맷돌질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1리의 맷돌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선옥, 조을선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선옥, 조을선 |
지역개관 | 표선면 성읍1리는 1423년 정의현청이 옮겨오면서 정의골로 불려지게 된다. 중산촌인 정의골은 오랜 기간동안 관변문화가 마을 주민들 생활에 영향을 끼치면서 특유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토질은 마을주변의 밭에서만 시비의 정도에 따라 보리농사가 가능했고, 조, 메밀, 육도 등의 농사를 지었다. 재산이 넉넉한 이들은 좋은 목초지가 지척에 깔려있어 50수 이상 마소를 키우는 이도 적지 않았다. 주민들이 화전놀이를 간 것은 아니지만 정의골의 관료들이 경치좋은 정소암에서 꽃놀이를 하는 것이 한눈에 들어왔고, 더불어 소리좋은 기생들의 목소리가 가까운 밭에서 김매는 여인들 사이에서 전달되어져 왔다. 전통적으로 성읍리 사람들은 노래를 잘 한다고 인근 마을에 알려져 있다. 소리 잘 하는 이를 유전한 탓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기녀들의 소리를 수용하고 따라 불렀다는 점이 그들도 노래를 잘 하게 된 배경으로 보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6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1리에서 채집한 맷돌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선옥, 조을선이 참여하였다. 맷돌질소리(고래고는소리)는 집안에서도 여인들끼리 일하면서 부르기 때문에 사설에 있어서 여인들의 성정이 그대로 드러난다. 산남의 맷돌질소리(고레고는소리)는 산북에 비하여 비교적 느리며 단순한 음계로 되어 있다. |
가사 | 이연이여 이여동 허라 / 이연 허난 눈물이 난다
이여랜 말 말 아니 허라 / 말앙 가민 놈이나 웃나 말앙 가민 놈이나 웃나 / 어멍 시민1) 옷 반반 입나 모른 질랑 모르뎅 허멍 / 아방 시민 신 반반 신나 아는 질도 물으멍 가라 / 다슴어멍2) 개년의 딸년 가건 가랜4) 보내여 두엉 / 나 눈물로 나 반반이여 올만 허난 지다리더라 1)어멍 시민: 어머니가 있으면. 2)다슴어멍: 계모. 4)가건 가랜: 가려면 가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