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동풍가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1리의 동풍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을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을선 |
지역개관 | 표선면 성읍1리는 1423년 정의현청이 옮겨오면서 정의골로 불려지게 된다. 중산촌인 정의골은 오랜 기간동안 관변문화가 마을 주민들 생활에 영향을 끼치면서 특유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토질은 마을주변의 밭에서만 시비의 정도에 따라 보리농사가 가능했고, 조, 메밀, 육도 등의 농사를 지었다. 재산이 넉넉한 이들은 좋은 목초지가 지척에 깔려있어 50수 이상 마소를 키우는 이도 적지 않았다. 주민들이 화전놀이를 간 것은 아니지만 정의골의 관료들이 경치좋은 정소암에서 꽃놀이를 하는 것이 한눈에 들어왔고, 더불어 소리좋은 기생들의 목소리가 가까운 밭에서 김매는 여인들 사이에서 전달되어져 왔다. 전통적으로 성읍리 사람들은 노래를 잘 한다고 인근 마을에 알려져 있다. 소리 잘 하는 이를 유전한 탓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기녀들의 소리를 수용하고 따라 불렀다는 점이 그들도 노래를 잘 하게 된 배경으로 보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6일에 제주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1리에서 채집한 동풍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을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조천, 성읍 등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분포되고 있는 창민요로, 서도소리인 난봉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가사 | 실실 동풍에 궂은 비 주리줄줄 오는데
시화라 연풍에 임소식만 가노라 에헹 에헤잉 에헤요 아랄마 디리동동 내사랑만 가노라 장산곶 마루에 북소리 콰쾅쾅쾅 나는데 시화라 연풍에 임소식만 나노라 에헹 에헤잉 에헤요 아랄마 디리동동 내사랑만 가노라 앵두남1) 아래다 빙아리 한쌍 놀고요 총각의 낭군님의 밥반찬만 뒈노라 에헹 에헤잉 에헤요 아랄마 디리동동 내사랑만 가노라 돌다리에 앉인 새 잠이 올까 감시요 순천에 곱은 꿩은 포수 올까 감시라 에헹 에헤잉 에헤요 아랄마 디리동동 내사랑만 가노라 너도나 총각 나도나 총각인데 휘양머리 마주잡고 입맞추는 총각이라 에헹 에헤잉 에헤요 아랄마 디리동동 내사랑만 가노라 1) 앵두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