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7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民謠學 第47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1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7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160830 |
생산자(처) | 한국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대흥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7집 학술지 ,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7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民謠學 第47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16년 8월 30일 한국민요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민요학(韓國民謠學) 제47집(第47輯)이다. 본 책은 총 355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의 끝에는 해당 논문의 영어요약본이 실려있다.
일반논문 김혜정, 강원도 어업노동요의 일본 음악 잔존 양상 배인교, 북한 아리랑류 민요풍 노래의 의미 변성구, 제주도 전통문화자원과 그 활용:성읍민속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옥경, 근래 문화재 관련 정책 동향과 '활용주의' 대두 현상에 관한 고찰 이성훈, 제주도 중요무형문화재 '제주민요'와 성읍민속마을 비지정 무형문화재의 전승 실태 이영식, 영평정 지역 <아라리>의 지명 구성 양상 이윤정, <원주어리랑>의 음악적 특징 정상홍, 「군밤타령」의 신해석:'바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한기, 통속민요의 정서적·표현적 양상 허정주, 전북 김제농요 '외에밋들노래'의 지역적 위상과 가치 홍순일, 동해 도서·연안지역 민요공동체의 연행 연구 서설 :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