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영귀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2리 구렁팟의 상여소리-영귀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두옥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두옥 |
지역개관 | 정의골에서 북서쪽으로 약 4km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는 정읍 2리는 행정적 호칭 때문에 성읍1리와 한 마을이었다가 분동된 경우로 생각되기 쉬우나 본래부터 다른 마을이었다. 제주고씨 구복수파의 파조가 성읍2리 구렁팟에 거주하다가 표선면 세화리로 옮겨갔다고 고씨제보에 기록되어 있다. 이같은 사실로 보면 성읍1리에 정의현청이 옮겨 오기전에 이미 구렁팟에 사람이 살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구렁팟이라고 함은 분지처럼 패어진, 굴헝진 밭이란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3월 17일에 제주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2리 구렁팟에서 채집한 영귀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두옥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소리는 상여가 마을을 떠날 때 세 번 주고 받는다. 장지가 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중간지점에서 쉬었다가 출발할 때와 장지에 도착하여 상여를 내려놓기 직전에도 부른다. 전통적으로 다른 행상소리를 하지 않고 이 영귀소리만 했다는 마을도 있다. |
가사 | 앞: 어 허 허 어 으
뒤: 어 허 어 어 위 (세번 주고 받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