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웨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표선면 가시리의 밭매는소리-아웨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오생 |
지역개관 | 표선면 가시리는 정의골에서 남서쪽으로 5km의 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고려말 우성범 등과 더불어 불사이군을 주장했던 예훈관 대제학 한천이 제주도에 귀양와서 설촌한 마을로서 유교적 전통이 깊다. 전체면적은 4,419ha이나 임야가 3700ha나 되며, 630ha에 불과한 경작지는 토질이 척박하여 옛부터 조,피,육도,메밀,콩 등이 겨우 생산되었다. 오늘에 이르러서는 이런 전통적인 농업경영은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환금작을 재배에 주력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3월 19일에 제주 남제주군 표선면 가시리에서 채집한 아웨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오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옛 정의 지방에서는 중산촌에서도 흔히 진아웨기를 했고 른아웨기는 하지 않았다. |
가사 | 어야디야 방애로구나
아 아아양 아헤헤양 에헤요 검질 짓고 골 너른 밧디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소리로나 매여나 보자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앞 멍애1)야 들어나 오라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뒷 멍애야2) 나고나 가라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검질 짓고 골 너른 밧디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검질줌3)이랑 자직 자직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날도 더웁고 더운 날에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소리로나 매여나 보자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허기야디야 방아로구나 아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1) 앞밭머리 2) 뒷밭머리 3) 김매는 손길 4) 한라산 5) 품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