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흙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남원읍 신흥리의 흙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만권, 김석종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만권, 나/김석종 |
지역개관 | 남원읍 신흥2리는 표선면 토산리와 송천을 사이에 두고 경계를 이루고 있으나 본시 이 두 마을은 한 마을이었다. 탐라국 시대 산남 동부지역에는 유일하게 토산현이 있었다. 토산현의 구역은 좁게는 지금의 표선면과 남원읍 일부지역으로 볼 수 있으나 넓게는 성산읍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지금부터 800년 이전의 이 일대의 상황은 마을 형성이 거의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해도 크게 부리가 없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1월 22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남원읍 신흥리에서 채집한 흙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만권, 김석종이 참여하였다. 초가집을 지을 때 흙을 바르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흙에 적당량의 물과 보릿대 같은 것을 넣어 버무려 지붕위로 던져주면 위에서는 이것을 받아 지붕 위에 덮는다. 마당에서 흙을 이기면서 부르는 노래를 흙질소리라고 한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515남제주군남원읍신흥리흙질소리_19890122.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