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맷돌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매질 > 맷돌질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리의 맷돌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현갑봉, 고태평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현갑봉, 나/고태평 |
지역개관 | 남원읍 하례1리는 한라산에서 발원하여 태평양으로 흘러드는 속칭 산벌른 내로 해서 선사시대 이래 사람들이 모여 살았던 곳이다. 물이 귀한 제주도의 실정에 비추어 볼때 이곳이야 말로 사람살기 적당한 곳이었다. 더구나 토질도 동부제주에 비해 좋은 편에 속하여 시비을 열심히 하지 않아도 보리재배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곳에도 사람들의 삶을 곤란하게 하는 요소가 있었다. 남원읍 하례리 일대에서 서귀포시 법환동에 이르는 지역은 비가 많이 오는 다우지역이다. 화산토에서 잡초들은 잘 자라나, 한두번의 빗줄기로 눈에 보이지 않던 잡초들이 솟아나 농사짓기를 피곤하게 했다. 비가 많다는 점은 또한 작물의 뿌리를 썩게하는 일도 잇어 농사에 어려움을 준다. 이 지역에서 나타나는 더럼소리는 이러한 자연환경의 산물이다. 느리고 유장한 선율은 묵시적으로 무더운 날씨와 잦은 비에 과민한 반응을 보여선 살 수 없다고 암시하는 듯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17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리에서 채집한 맷돌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현갑봉, 고태평이 참여하였다. 산남지방의 고레고는는소리는 산북지방의 소리보다 한굽이를 더 꺾어 부르는 일이 있다. 특히 숨이 길고 목청이 좋은 가창자는 마음껏 소리를 꺾는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604남제주군남원읍하례리맷돌질소리_19890517.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