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서우젯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귀포시 대포동의 서우젯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옥련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옥련 |
지역개관 | 서귀포시 대포마을은 유명한 관광지인 천제연 폭포를 기고 있는 어촌이다. 바닷가를 끼고 있으면서도 마을의 남자들은 바닷일 천한일이라 생각해서 바다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다. 대포마을에서는 남자들 가운데 농사에 전념하는 사람이 전체의 75%정도 되었다. 이들은 해발 600m의 거린사슴일대까지 올라가 화전농사를 짓기도 했으며 마을 주변에서는 풍부한 물을 끌어다 주로 논농사를 지었다. 남자들이 바닷일을 꺼려하는 대신에 여자들은 잠수아닌 사람이 드물 정도로 바닷일을 열심히 했다. 대포마을 여자들은 평생 주도적으로 살아온 사람답게 매사에 능동적이고 자신만만하다. 대포마을에서도 감귤농사로 인해 논농사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7월 12일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포동에서 채집한 서우젯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옥련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본래 서우젯소리는 무당에 의하여 신을 즐겁게 놀리고 기원하는 노래인데 이 노래가 갖고 있는 주술종교적 기능 때문에 민간에 밭매는 노래로 차용되었다. 여기서는 무가로서 춤추고 노는 서우젯소리 원래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615서귀포시대포동서우젯소리_19890521.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