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삶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귀포시 법환리의 논삶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미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미여 |
지역개관 | 법환동은 오랜 설촌 역사를 지니고 있는 마을이자 고려말엽 몽고군을 최종적으로 섬멸했던 전쟁터이기도 하다. 최영장군은 원나라 군사를 섬멸하기 위해 추자도를 거쳐 한림 앞바다에 상륙했다. 그는 몇차례의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종래에는 오랑캐들을 법환마을 앞바다에 있는 범섬에 몰아 넣었다. 최영장군은 섬을 함선으로 포위하는 한편 배와 배를 맞대어 법환마을과 범섬을 이어버린 다음, 군사를 대거 투입하여 그들을 몰살시켰다. 법환마을에는 700여년전 전쟁의 흔적이 여기저기 남아있다. 배를 맞댄 곳을 배연줄이라고 부르고, 고려군사가 야영하던 곳을 막숙이라고 부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7월 14일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리에서 채집한 논삶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미여가 참여하였다. 제주도에 희귀한 논농사 노래로, 소에 써래를 달아 무논을 고르면서 하는 노래이다. 일찍이 남편을 잃고 친정에 돌아온 강미여 할머니가 남자도 하기 어려운 설메질을 하면서 설움이 복받쳐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701서귀포시법환리논삶는소리_19910714.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