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풀무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철공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서귀포시 법환리의 풀무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기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기생 |
지역개관 | 법환동은 오랜 설촌 역사를 지니고 있는 마을이자 고려말엽 몽고군을 최종적으로 섬멸했던 전쟁터이기도 하다. 최영장군은 원나라 군사를 섬멸하기 위해 추자도를 거쳐 한림 앞바다에 상륙했다. 그는 몇차례의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종래에는 오랑캐들을 법환마을 앞바다에 있는 범섬에 몰아 넣었다. 최영장군은 섬을 함선으로 포위하는 한편 배와 배를 맞대어 법환마을과 범섬을 이어버린 다음, 군사를 대거 투입하여 그들을 몰살시켰다. 법환마을에는 700여년전 전쟁의 흔적이 여기저기 남아있다. 배를 맞댄 곳을 배연줄이라고 부르고, 고려군사가 야영하던 곳을 막숙이라고 부르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1년 6월 21일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법환리에서 채집한 풀무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기생이 참여하였다. 대장장이들의 서러운 한 생애가 들어있는 불미노래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동안 노동요가 아니라 놀면서 하는 노래로 기능이 바뀌는데, 법환리에서 발굴된 똑딱불미소리가 그러하다. 조실부모한 어린 대장장이가 제주땅에서 살지 못해 경상도땅으로 옮겨다 살면서도 조상섬기기를 잊지 않아 끝내는 고생 끝에 양갓집 사위가 된다는 줄거리를 갖고 있다. 끝부분에는 노래가 되지 않고 말로 이어진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703서귀포시법환리풀무질소리_19910714.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