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민요논집(民謠論集) 제3호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民謠論集 第3號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민요논집(民謠論集) 제3호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41220 |
생산자(처) | 민요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생산지역 상세 | 연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민요논집(民謠論集) 제3호 학술지 , 민요논집(民謠論集) 제3호 학회지 , 논문집 , 民謠論集 第3號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1994년 12월 20일 민요학회에서 발간한 민요논집(民謠論集) 제3호(第3號)이다. 본 책은 총 540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문 권오경, 참요의 유형적 특성 김대행, 제주민요의 차단구조와 그 문화적 의미 김연갑, 국가 <애국가>의 민요론적 접근 시론 김영돈, 한국민요연구사 나승만, 소안도 민요사회의 역사 박민일, 아리랑문학의 특성 손문숙, 길쌈과정과 길쌈노동요의 상관성 연구 이영식, '자음풀이형 동요'의 노래말 구조 이창식, 서정민요의 시학적 구조 -진도지방의 민요자료를 중심으로- 좌혜경, 제주도 민요에 대한 문헌 해제(Ⅰ) 최상일, 전남지역 민요의 분류와 분포 한기흥, 조천 민요의 특이성 한승훈, 상천민요 기행 한채영, 구비시가의 텍스트 거시구조와 인접성의 배열 방식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