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너녕나녕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대정읍 하모리의 너녕나녕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순, 김부선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영순, 나/김부선 |
지역개관 | 대정지방은 과거 유배인이 살던 유형지였다. 그런 까닭에 이곳에는 유교적 전통이 도내 어느곳에서 보다 강하고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기질이 면면히 흐르고 있어, 제주도에서 민중의 난이 일어나면 사발통문을 처음으로 돌리던 곳이다. 자연환경이 척박하여 사람살기에 적당하지 않던 시절도 있었으나, 주민들은 강건한 정신력으로 전통을 일구어 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4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대정읍 하모리에서 채집한 너녕나녕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순, 김부선이 참여하였다. 제주도 전역에서 발견된다. 제주민요의 음악적 특징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어서 제주사람들이 즐겨부르는 창민요다. |
가사 | 가 :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가 : 아침에 우는 샌 배가 고파 울고요 밤에야 우는 새는 님을 그려 운다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나 : 호박은 늙으면 맛이나 좋구요 사람은 늙으면 보기나 싫구나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가 : 저 달은 둥근 달 산 넘어 가고요 이 몸은 언제면 임 만나러 가리요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나 : 앞뒷집의 살아도 내 그런 줄 몰랏네 영두고개 넘고보니 어서리설설 넘네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가 : 질투를 하여서 무엇을 하리요 요만은 살면은 막말이로다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나 : 가는 임 허리를 두리덤썩 안고요 가지를 말라고 감돌아든다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가 : 종달새 울거든 봄 온줄 알고요 하모니카 불거든 님 온줄 알아라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나 : 갈적 올적에 젓눈질 말고요 내속한 푸려도 말만 말아요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가 : 짝 없는 기러기 강가에 홀로 놀고 임 없는 이몸은 요 방안에 논다 너녕나녕 두리둥실 너녕 밤에밤에나 낮에낮에나 상사랑이로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