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밭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남제주군 대정읍 신평리의 밭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기백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기백 |
지역개관 | 대정읍 신평리에 사람이 처음 정착한 것은 청수리에 가까운 속칭 새변나리에 송씨가 처음 들어왔을 때였다. 새변나리는 농사가 잘 안될뿐더러 물도 부족한 곳이어서 사람이 살기에 적당한 곳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서기 1804년에 이르러 마을은 본동인 일과리와 분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커졌는데, 새변나리에 인구가 급증하게 된 것은 옹기터 때문이었다. 신평리에는 모두 10군데의 가마터가 있었다. 이 가마터에서 생산되는 옹기는 제주도 전역에 걸쳐 팔리고 주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농사를 짓지 않더라도 넉넉했다. 마을 사람들은 가마터에 모든 것을 걸다시피 해서 종사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0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남제주군 대정읍 신평리에서 채집한 밭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기백이 참여하였다. 밭가는소리는 성격상 소를 다루는 신호 사이사이에 약간의 흥얼거리는데 불과하다. 특히 제주의 밭은 돌이 많고 면적이 좁아 노래할 틈이 별로 없기 때문에 밭가는 노래는 발달되기 어려웠다. |
가사 | 이식게! “어이 쇠 강 몰아오라 밧갈게 쇠 탁 매영”
이싯 쩟쩟쩟쩟쩟 뭐싯게 이놈의 쉣 쩟쩟쩟쩟쩟 왕! 멍에질 해 이저 저러 가는 쉐야 잘 멍에질 해 가건 잘 돌아오라 어 - 요 쉐 저 쉐 돌아오라 왕 이싯게 쩟쩟쩟 뭿싯게 이놈의 쉐 잘 걸으라 쩟쩟쩟쩟쩟 이러저러 요 쉐 밧도 잘 긴다 이러저러 어허어허어 찍찍 왕! 멍에질 해 허 찍찍찍... 앞으로 멍에질 해 돌아오라 왕 이러 저러 요 쉐 저 쉐 밧도 잘 긴다 멍에질 해 가난 돌아온다 왕 어허 요 쉐 저 쉐 가는 쉐가 설랑설랑 재게도1) 걸어가는구나 어허 이놈의 쩟 확확 재게 겨 어러저러 가는 쉐가 설랑설랑 요 쉐 밧도 잘 긴다 어헛 요놈의 쉣 왕! 찍찍 왕왕 요놈의 멍에질 해 가난 쉐도 잘 돌아 오는구나 어허 이러저러 요 쉐 저 쉐 잘 돌아 오는구나 어허 이러저러 헛 찍찍찍 헛 이러저러 요 쉐 저 쉐 잘 돌아 오는구나 어허어허 찍찍 헛 쩟쩟쩟 어허 요 쉐 저 쉐 잘 걸엄구낭2) 어허 설랑설랑 걸엄구나 어허잇 1) 빨리도 2) 잘 걷는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