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해녀노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의 해녀노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화규, 고순옥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화규, 뒤/고순옥 |
지역개관 | 한경면 용수리에는 제주도 서쪽 끝의 바닷가 마을이다. 고산 자구네 포구와 이웃해 있으면서 차귀섬, 누운섬이 만들어준 자연적인 항구의 덕을 단단히 보고있다. 사람들은 반농반어의 전형적인 제주도 어촌사회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용수리의 잠수들은 발자취가 전국해안에 없는 곳이드물만큼 왕성하게 바다를 건너갔다. 바다에 생애를 걸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한라산이 보여주는 날씨 변동을 감지하고 마라도 남쪽 동지나해까지 진출하기도 했다. 그런 반면 유교의식이 투철하여 농사에만 전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5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에서 채집한 해녀노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화규, 고순옥이 참여하였다. 용수리는 한반도 연안으로 해녀들이 왕성한 출가를 했던 마을로, 동해안에 최초로 진출했던 전통을 가지고 있다. 용수포구를 떠나 비양도를 거쳐 구엄포구에서 바다날씨를 살피고 사수바다를 거쳐 육지바다로 흘러져 갔던 것이다. 이 노래를 불러준 소리꾼들은 선배들처럼 노를 저어 육지 바다로 간 것은 아니지만 그들이 부른 노래에는 죽음을 각오하고 바다를 건너간 여인들의 강인한 의지가 엿보인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811북제주군한경면용수리해녀노젓는소리_19890525.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