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통나무깎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수공노동요 > 목공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의 통나무깎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두옥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두옥 |
지역개관 | 한경면 용수리에는 제주도 서쪽 끝의 바닷가 마을이다. 고산 자구네 포구와 이웃해 있으면서 차귀섬, 누운섬이 만들어준 자연적인 항구의 덕을 단단히 보고있다. 사람들은 반농반어의 전형적인 제주도 어촌사회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용수리의 잠수들은 발자취가 전국해안에 없는 곳이드물만큼 왕성하게 바다를 건너갔다. 바다에 생애를 걸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한라산이 보여주는 날씨 변동을 감지하고 마라도 남쪽 동지나해까지 진출하기도 했다. 그런 반면 유교의식이 투철하여 농사에만 전념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5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에서 채집한 통나무깎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두옥이 참여하였다. 자귀질을 하기 전에 도기로 나무를 다듬으면서 하는소리이다. |
가사 | 에 이 놈의 낭은 황기도치로 낭을 까껴컬로구나
이 낭 저 낭은 끊어놓고 언제랑 제자리로 낭을 까그리 정신을 찰려야 할로구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