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한경면 신창리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양한병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양한병 |
지역개관 | 한경면 신창리는 바닷가 마을로서, 옛날에는 두모리에 속해 있었으나 1909년에 분향하였다. 따라서 이 마을의 문화적 전통은 독자적인 것이 아니라 두모 사람들과 함께 향유하고 있다. 신창리에서 노 젓는 노래는 20여년 전까지도 불려져서, 50대 이전의 부녀자들도 노 젓는 노래를 썩 잘한다. 장례의식요를 잘 부르고 있는 양한병씨도 53세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행상노래 앞소리꾼의 사설을 배워 기능을 보유하게 되었으나, 요즘의 장의사에서 장례의식 전반을 맡아서 치르기 때문에 노래솜씨를 발휘할 기회가 많지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5월 23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한경면 신창리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양한병이 참여하였다. 봉분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래는 보통 봉분이 풍수지리적 명당임을 밝히고 망자에게 위로하고 내용으로 사설이 전개되지만 양한병씨의 사설은 1년 열두달에 맞춰 죽음을 슬퍼하는 달거리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0815북제주군한경면신창리무덤다지는소리_19890523.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