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사데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애월읍 금덕리의 밭매는소리-진사데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옥심, 변문숙 |
---|---|
실연방법 | 제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옥심, 변문숙 |
지역개관 | 애월읍 금덕리는 두개의 중산촌이 합쳐져서 하나의 마을이 되었다. 먼저 본동은 항파두리성에서 남쪽으로 1.5km정도 올라간 곳에 자리잡고 있다. 풍광이 수려한 이곳은 중산촌으로서는 드물게 샘물이 솟아나 유수암촌이라고 불려왔다. 그리고 오늘날 마을 명칭이 된 거문덕이는 남쪽에 자리잡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2월 17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애월읍 금덕리에서 채집한 진사데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옥심, 변문숙이 참여하였다. 숨을 크게 네번 내 쉴동안, 즉 네굽이로 엮어 부르는 사데. 애월지방은 일찌감치 유교문화가 정착되어 높은 예의를 요구했던 지역이다. 그러나 자체가 토양이 부실하여 몇 사람의 토호를 빼고나면 양반계급의 사람일지라도 생계유지를 위한 생산활동에 뛰어들어야 했다. 애월 여인들은 노래를 부르지 않고서는 일을 할 수가 없었기에 노래를 하되 속마음이 드러나는 노래는 스스로 삼갔다. 금덕리의 진사데는 아주 어렵게 곡조를 꺾어가는데, 이것을 서로 맞추어가노라면 오히려 사설이 있는 노래보다 더 쉽게 일의 고통을 잊게 해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
가사 | 바람은 간들간들 어허엉 어허 어허엉
어허 허어 어야 어어엉 어일 두리야 사데로구나 어허야 어엉 어허 허허 어허허 어허 허어어야 어어 얼두리야 사데로구나 어허야 어어허 어허 허어 어허 허어 어양 얼두리야 사데로구나 어허양 어허 어허허 어허 허엉 어허 어허 어양 어헝 얼두리야 사데로구나 어허 어야 어허엉 어허 어허 허엉 어허 허어 어양어 얼두리야 사데로고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