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애월읍 고성리의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021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북제주군)애월읍 고성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0 ,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통나무벌목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도 , 제주 , 제주시 , 1989 , 1991 ,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 , 문갑선 , 김정자 , 교환창 , |
실연자 | 문갑선, 김정자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문갑선, 나/김정자 |
지역개관 | 애월읍 고성리는 제주시에서 16번 국도를 따라 서쪽으로 12km지점에 자리잡고 있는 중산촌이다. 이 마을은 항파두리라는 옛성이 남아있어 마을 이름을 고성이라고 했다. 김통정의 삼별초군이 향파두리에 주둔하면서 여몽 연합군과 격전을 벌인 후 상당기간이 흐른 뒤에도 사람이 살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부터 300여년 전 김해 김씨가 이주해 오면서 오늘의 고성마을의 근거지가 되었다고 한다. 해동지도첩에 실려있는 제주삼현도에 보면 이 당시 고성리는 항파촌이었던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2월 16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애월읍 고성리에서 채집한 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문갑선, 김정자가 참여하였다. 벌목지에서 나무를 베어 마을로 옮겨올 때 하는소리, 이 마을에는 소가 많아서 소로 나무를 옮겨왔다고 하는데 노래보다는 두 사람이 실제처럼 주고 받는 대화가 연극을 보는 듯 하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1006북제주군애월읍고성리통나무끌어내리는소리_19890216.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