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장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자장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애월읍 신엄리의 자장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동성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동성 |
지역개관 | 애월읍 신엄리는 제주시에서 우회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16km지점에 있는 바닷가 마을이다. 신엄리의 설촌역사는 분명하지 않지만 탐라국시대부터 귀일현이 현재의 신엄리와 동쪽으로 이웃해 있었고, 서쪽으로는 고내현과 가깝다. 지금은 신엄, 중엄, 구엄, 용흥의 네마을로 나누어져 있었지만 설촌초기에는 엄쟁이,엄장촌이라고 불리워 왔다. 속설에 따르면 이 일대에서 소금제조를 했던 소금막이 있어 염장이었던 것이 엄쟁이등으로 바꿔지게 되었다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2월 2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애월읍 신엄리에서 채집한 자장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동성이 참여하였다. 해촌 마을은 바닷일이 많기 때문에 농사에 전념하는 산촌 사람들 보다 가창능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애기 흥그는소리만은 예외이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제주도편CD1014북제주군애월읍신엄리자장가_19890202.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