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너녕나녕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제주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북제주군 애월읍 신엄리의 너녕나녕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제주도편은 CD 10장, 171곡으로 구성되며, 1991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정렬, 김동성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정렬, 나/김동성 |
지역개관 | 애월읍 신엄리는 제주시에서 우회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16km지점에 있는 바닷가 마을이다. 신엄리의 설촌역사는 분명하지 않지만 탐라국시대부터 귀일현이 현재의 신엄리와 동쪽으로 이웃해 있었고, 서쪽으로는 고내현과 가깝다. 지금은 신엄, 중엄, 구엄, 용흥의 네마을로 나누어져 있었지만 설촌초기에는 엄쟁이,엄장촌이라고 불리워 왔다. 속설에 따르면 이 일대에서 소금제조를 했던 소금막이 있어 염장이었던 것이 엄쟁이등으로 바꿔지게 되었다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
해설 | 본 자료는 1989년 2월 2일에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애월읍 신엄리에서 채집한 녀녕나녕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정렬, 김동성이 참여하였다. 오돌또기, 이야홍과 더불어 제주 전역에서 나타나는 창민요이다. |
가사 | 가 : 너녕 나녕 두리둥실 놀고요
밤이 밤이나 낮이 낮이나 쌍사랑이로고낭 나 : 너녕나녕 두리둥실 놀고요 밤이 밤이나 낮이 낮이나 쌍사랑이로고낭 가 : 아침에 우는 새 배가 고파 울고요 저녁에 우는 새 임그려 운다 너냥 나냥 두리둥실 놀고요 밤이 밤이라 낮이 낮이나 쌍사랑이로구나 나 : 아침에 우는 새 배가 고파 울고요 저녁에 우는 새 임그려 운다 너냥 나냥 두리둥실 놀고요 밤이 밤이나 낮이 낮이나 쌍사랑이로구나 가 : 세월아 유수야 오고야 가지를 마세요 아까운 내 청춘 다 늙엇고낭 나 : 세월아 네월아 오고야 가지를 말어라 아까운 청춘아 다 늙어간다 가 : 밤에 가는 꽃 보이지 않고요 해낮에 가면은 날 사랑하네 나 : 밤에 우는샌 배가 고파 울고요 냑에 우는샌 임기려 운다 가 : 너냥 나냥 두리둥실 놀고요 밤이 밤이나 낮이 낮이나 쌍사랑이로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