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산디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지섭, 조천수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지섭, 나/조천수 |
지역개관 | 장동(長洞)은 89년 1월 1일 대전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전시로 흡수된 마을로 대덕구의 중간에 위치한 마을이다. 계족산과 성재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산디, 짚은골, 새뜸, 욕골, 새골을 거쳐 용호동으로 흘러들어 가는 골짜기가 매우 길어서 긴골 또는 진골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한자화하면서 긴 장(長)자를 취하여 장동이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4일에 충청남도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산디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지섭, 조천수가 참여하였다. 대전과 금산을 그 좌측경계로 한 모를 심으며 부르는 <모노래>이다. 메나리조 교환창으로 부른다. <모노래>는 경북, 충북(영동,옥천,보은), 전북 동부산간지역(무주,진안,장수,남원)에 널리 퍼져있다. |
가사 | 가:여기 꼽고 저기다 꼽고 네 구팅이 제앞나게1) 잘 심궈주소
나:잘 심었소 잘 심었소 일년 농사는 손에 달렸소 가:어떤 사람은 팔자가 좋아서 고대광실 높은 집에 나:세월아 봄철아 오고 가지를 마라 알뜰한 요 내 청춘 다 늙어간다 가:이 놈의 신세는 팔자가 왜 이리 막혀 오뉴월 삼복 달음이2) 나:오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만 네가 날만 넘게 가:삼복이랄 진 논에 와서 해질 제 일 받고 댕기네 나:팔라당 팔라당 갑사댕기 곤때도 안 묻어서 사주가 오네 가:원제는 좋다고 나를 사랑을 하더니 이제 와서 박대하나 나:오동공수 태사골아 널마 설렁 몇 십여년 고공살이3) 다 올라가네 가:아서요 말어요 너무 그리를 마소 사람의 괄세를 하지 마소 나:괄세를 할라서로 괄세가 됐나 칭칭도4) 시하5) 밑에서 살기 땜이 괄세가 됐지 가:그것도 말도 아니나 됐네 우리 두전이 이자를 닫는디 1)제앞나게: 각각의 모포기가 붙지 않게 2)삼복달음: 삼복달임. 여름 삼복(초복,중복,말복)날에 더위를 물리치는 뜻으로 고기붙이로 국을 끓여 먹는 일. 3)고공살이: 머슴살이. 4)칭칭도: 층층(層層). 겹겹이, 여러 겹. 5)시하: 侍下. 부모, 조부모 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