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산디의 나무하러가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지섭, 조성호, 조천수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지섭, 나/조성호, 다/조천수 |
지역개관 | 대전시는 충청남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시 외각은 공주, 연기, 논산, 금산, 옥천군 등과 접하여 있다. 대전은 충청남도 도청소재지로 행정, 교육, 상업의 중심지이고, 교통의 요지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4일에 충청남도 대전시 대덕구 장동 산디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지섭, 조성호, 조천수가 참여하였다. 산에 점심먹고 풀(나무)하러 갈 때 지게 2개를 기다랗게 묶어서 상여소리를 하면서 올라갈때 부르는 소리(소리한 사람의 순서 및 창자 구별 모호?) |
가사 | 가:아주까라 동백아 너무 많이 열지를 말어러
다박마리 큰애기가 갈보가 댄다 갈보야 질보야 몸단장을 너무 하지를 말게 돈없는 저 건달이 생몸을 달고 있네 나:세간살이 네간살이 할뚱이나 말뚱 호박넝쿨 덕넝쿨은 왜 조리나 성타 다:아주까라 동백아 열지를 마라 이십 안쪽 숫처녀들 다 건달 되네 가:이 살림을 잘하며는 내 살림이 되나 있는대로 툭툭 팔아서 술받이나 하세 나:어리절절 끓으며는1) 오신다더니 미나리 삐어져도 워니나오네2) 가:고것은 원이나 되는 중 아나3) 본냄편이4) 밝혀가지고 부득이 사정이 못 나왔네 다:고이야 고이야5)은 어기여 골짜긴데 날 구만 해며는 지게질이 웬수로구나 가:날 살려주소 나를 살려주소 논두렁아 밭두렁아 날만 살려주소 논두랑 밭두랑이 날 살려이우면 우리집 본가장이6) 나를 쫓아 오니 주먹이 앉았으니 지발덕분7) 날 살려주소 다:뒷동산의 칠거지 넝쿨은8) 엉클멍클어 졌는디 임과야 나는 왜 이리 냉정한가 가:남의 집 낭군은 인력거 자동차를 당기는디 우리집이 저 병신은 콩 밭골만 타고 있네9) 1)어리절절 끊으며는: 짚신 날이 끊어지면. 2)미나리 삐어져도 워니나 오네-> 네 날이 끊어져도 아니나 오네: 짚신의 네 날이 다 끊어지도록 기다려도 아니나 오네. 3)원이나 되는 중 아나: 원(소원)대로 되는 줄 아나. 4)본남편: 원래의 남편. 5)고이야 고이야: 구이야 구이야. 까마귀야 까마귀야. 6)본가장: 원래의 가장. 남편. 7)지발덕분: 제발 덕분에. 8)칠거지 넝쿨: 칡 넝쿨. 9)콩 밭골만 타고 있네: 콩 밭만 매고 있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