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전시 대덕구 평촌동 새터의 논매는소리1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명섭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명섭 |
지역개관 | 이 마을은 무진이, 새터, 서당골, 다랑이, 조산이라는 단위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40호 정도 살던 마을이 대전으로 편입되면서 외지인이 많이 들어와 몇 백호가 사는 마을로 변해 버렸다. 하여 부락제나 전통시대에 존재했던 것들이 이제는 없어졌다. 대덕군에서 신탄진읍으로 되었다가 대전시로 편입이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5일에 충청남도 대전시 대덕구 평촌동 새터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명섭이 참여하였다. 모를 심고 한 20일 가량 있다가 호미로 논을 맨다. 호미로 한 번 매고 풀이 많으면 이듬 호미를 할 때도 있지만 바로 만물을 한다. 보통 두번 매고 필요하면 피살이할 때 풀도 뽑았다. 이 소리는 호미로 논을 맬 때 북을 치면서 하는 소리이다. 북을 치지 않을 때는 “어널널 상사뒤“를 하거나 ”어두 여차“를 한다. |
가사 |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야 잘도하네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가 잘하네 일락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동녕에 달 돋는다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가 잘하네 상주 이천 공골 못에1) 연밥 따는이 저 처녀야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가 잘하네 연밥 연꽃은 내 따주께 이 내 품안에 들어주소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가 잘하네 신농씨 농사법 천추만대 내려가며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가 잘하네 억조창생이 다 살어가니 좋은 요렇게 좋은게 어디 있나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가 잘하네 국태민안 시화연풍2) 연연이만 돌아오소 잘하네 잘하네 에헤야 산이가 잘하네 1)상주 이천 공골 못-> 상주 함창 공갈못 2)시화연풍-> 세화연풍(歲華連豊)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