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대전시 대덕구 평촌동 새터의 논매는소리2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명섭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정명섭 |
지역개관 | 이 마을은 무진이, 새터, 서당골, 다랑이, 조산이라는 단위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40호 정도 살던 마을이 대전으로 편입되면서 외지인이 많이 들어와 몇 백호가 사는 마을로 변해 버렸다. 하여 부락제나 전통시대에 존재했던 것들이 이제는 없어졌다. 대덕군에서 신탄진읍으로 되었다가 대전시로 편입이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7월 15일에 충청남도 대전시 대덕구 평촌동 새터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명섭이 참여하였다. 호미로 논을 맬 때 부르는 소리이다. 북을 치지 않거나 좀 빨리 일을 할 때 부른다. |
가사 | 어-러럴 상사두이
어-널널 상사뒤 국태민안 시화연풍 어-널널 상사뒤 연연이 돌아온다 어-널널 상사뒤 이 농사를 어서 지어 어-널널 상사뒤 부모 봉양을 하여보세 어-널널 상사뒤 하육처자도1) 하여보세 어-널널 상사뒤 신농씨 농사법이 어-널널 상사뒤 천추만대 내려가면 어-널널 상사뒤 억조창상이2) 다 살아간다 어-널널 상사뒤 다 되었네 다 되었네 어-널널 상사뒤 서마지기 논배미가 어-널널 상사뒤 반달만큼이 남었구나 어-널널 상사뒤 이 논자리를 어서 매고 어-널널 상사뒤 저 논배미로 갑시다 어-널널 상사뒤 어-널널루 상사두이 어-널널 상사뒤 충청도 충북성은3) 어-널널 상사뒤 주지 가지가4) 열렸고 어-널널 상사뒤 강남댁 강대추는5) 어-널널 상사뒤 아그대 다그대6) 덜렸구나 어-널널 상사뒤 일락서산에 해는 지고 어-널널 상사뒤 월출동녘에 달 돋는다 어-널널 상사뒤 제비가 적어도 강남을 가고 어-널널 상사뒤 참새가 즉어도 알을 낳고 어-널널 상사뒤 우리 농부는 이래 뵈도 어-널널 상사뒤 이 농사를 지어가지고 어-널널 상사뒤 억조창생이 다 먹고 사네 어-널널 상사뒤 요런 경사가 또 있느냐 어-널널 상사뒤 1)하육처자-> 하위처자(下爲妻子): 아래로는 아내와 자식을 돌 봄. 2)억조창상-> 억조창생(億兆蒼生) : 수많은 백성. 3)충북성-> 중복숭: 껍질에 털이 없어 중의 머리처럼 반들반들한 복송아. 승도(僧桃) 복숭아. 4)주지(主枝)가지: 큰가지와 곁가지. 가지마다. 5)강대추: 밤대추를 말하는 듯. 6)아그대 다그내 : 과일 따위가 탐스럽게 주렁주렁 열린 모습을 나타내는 의태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