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공주군 이인면 오룡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순동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허순동 |
지역개관 | 오룡리(五龍里)는 용이 다섯 마리가 있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내조, 상조, 하조, 본오룡으로 마을이 이루어졌다. 음력 정월 열 나흗날이면 시루떡을 해 놓고 마을의 공동 우물에서 샘고사를 지냈으나 지금은 하지 않는다. 효자와 열녀가 많아 95년 공주시로부터 도의 마을로 지정을 받은 바 있다. 70가구가 산다. 생업은 논농사 위주이고, 밭농사로는 생강,고추, 감자를 많이 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8일에 충청남도 공주군 이인면 오룡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순동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를 심을 때 부르는 <상사소리>이다. 공주, 논산, 청양, 부여 접경지역에서 널린 불리는 모심는 소리로 늦은상사소리와 잦은상사소리로 구성되어있다. 받는 소리의 상사디여에서 상 다음에 쉬고 사를 상보다 높이내어 굴리며 끌어내리는 특징이 있다. 늦은상사소리를 하다가 모를 다 심어가면 잦은상사소리를 한다. |
가사 | <상사소리>
에에헤 헤에 헤에에루 상사디여 오동추야1) 달 밝은데 님의 생각 간절하다 에에헤 헤에에헤루 상사디여 임은 가고 봄은 오니 꽃만 피어도 님의 생각 에에헤 헤에에헤루 상사디여 십오야2) 밝은 달은 운무중에서3) 놀고 과년찬 큰 아기는 내 품안에 논다 에에헤 헤에에헤루 상사디여 황해도 봉산 구월산 밑에 지치4) 캐는 저 처녀야 해가 가도 안 가느냐 에에헤 헤에에헤루 상사디여 서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큼 남었구나 에에헤 헤에에헤루 상사디여 < 자진상사소리>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여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여기도 꽂고 저기도 꽂고 어럴럴럴 상사디여 상사 소리가 그치거든 어럴럴럴 상사디여 뒷걸음질해서 빨리 심세 어럴럴럴 상사디야 얼럴럴 상사디야 어럴럴 상사디야 여기도 꽂고 저기도 꽂고 어럴럴럴 상사디여 상사 소리가 끝나거든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디야 디야 상사디야 디야 디야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얼럴럴 상사디야 어럴럴럴 상사디야 1)오동추야(梧桐秋夜): 오동잎이 떨어지는 가을 밤. 2)십오야(十五夜): 삼오야(三五夜). 음력 보름날 밤. 특히 8월 보름을 일컬음. 3)운무중(雲霧中): 구름과 안개속. 3)지치: 산이나 들에 나는 다년생 풀. 뿌리는 화상,동상,습진 등의 약재로 쓰로, 자색염료로도 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