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얼카 산이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물페기의 논매는소리-얼카 산이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길준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길준수 |
지역개관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물페기는 70% 이상이 산악 지대로 이루어진 금산군에서 평촌리는 손꼽히는 곡창지대이다. 그 이유는 금산군의 중앙부에 뻗어 있는 노령산맥의 지맥과 동남쪽을 지나는 소백산맥과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 양대 산맥을 가로지르는 금강이 퇴적한 광대한 침식 분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페기라는 마을 이름은 지삼치에서 발원하여 현내리를 거쳐 북향하면서 양곡리 부근에서 지류인 불이천과 합류하는 현내천이 평촌리에서 금강 본류와 만나 합쳐 흐르게 되는데, 이 때 물이 포개어 흐른다 하여 물폭이 → 물포기로 되고, 금강물이 휘어져 꺾여 돌기 때문에 한 쪽이 패였다 하여 물페기로 되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6일에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평촌리 물페기에서 채집한 얼카 산이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길준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미로 땅을 파 엎으며 아시매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두벌,세벌은 손으로 매며 <방애타령>을 한다. |
가사 |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산이가 산이지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우리야 농군 얼카산이야 한몫 지게 얼카산이야 잘들 해요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산이가 산이지 얼카산이야 앞산을 파다1) 얼카산이야 뒷산을 메우고2)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늦어가네 얼카산이야 점심참이 얼카산이야 늦어를 가요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산이가 산이지 얼카산이야 뒷구잽이3) 얼카산이야 맹생원은 얼카산이야 앞구잽이4) 얼카산이야 하는대로 얼카산이야 슬믓슬믓5) 얼카산이야 돌아를가요 얼카산이야 얼카산이냐 얼카산이냐 산이가 산이지 얼카산이야 월출동녕6) 얼카산이야 해는 지고 얼카산이야 달은 솟아 얼카산이야 임은 기둘려7) 얼카산이야 얼카산이냐 얼카산이냐 산이가 산이지 얼카산이야 울타리 밑에 얼카산이야 깔8) 비는 총각 얼카산이야 눈치나 있거든 얼카산이야 떡 받아먹소 얼카산이야 산이가 산이지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얼카산이야 우리집에 얼카산이야 마나님은 얼카산이야 오실때가 얼카산이야 되였건만 얼카산이야 시간이 됐어 얼카산이야 아니오네 얼카산이야 늦어를 간다. 얼카산이야 샛술참이9) 얼카산이야 늦어를 가요 얼카산이야 얼카산이냐 얼카산이야 산이가 산이요 얼카산이야 우리 농군 얼카산이야 잘들하네 얼카산이야 이만저만 얼카산이야 고만하구 얼카산이야 담배를 피워 얼카산이야 쉬어서 하세 얼카산이야 요만저만 얼카산이야 고만들 합시다. 얼카산이야 1)앞산을 파다: 논의 앞 덩이를 파서. 2)뒷산을 메우고: 뒤에 판 구덩이를 앞 덩이로 덮고. 3)뒷구잽이: 앞구잽이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선 사람. 4)앞구잽이: 논매는 사람중 대열 제일 끝 논 가장자리에 선 사람. 5)슬믓슬믓: 슬며시 슬며시. 6)월출 동녕: 월출(月出) 동녁. 7)기둘려: 기다려. 8)깔: 꼴. 풀. 9)샛술참: 논매는 중간에 쉬면서 먹는 술과 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