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농바우끄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농업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느재의 기우제지내는소리-농바우끄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21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남도 > 금산군 |
생산지역 상세 | 부리면 어재리 느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2 , 기우제지내는소리 , 농바우끄는소리 , 민요 , 의례요 , 기타의례요 , 농업의례 , 충청남도 , 충남 , 금산군 , 1993 , 1995 , 농바우끄는소리 , 김현준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김현준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현준 |
지역개관 | 느재는 영동군 학산면과 무주군 무주면으로 넘어가는 재 너머에 들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의 동쪽은 성주산(聖主山), 북쪽은 제원면 용화리, 서남쪽은 어재방죽이 있다. 오늘날과 같이 교통이 발달하기 이전의 느재 마을은 사방이 산과 강으로 막혀 있는 매우 고립된 마을이었다. 한편 이 마을은 마을 옆 시루봉의 농바우와 갓바우에 얽힌 장수설화와 함께 기우제를 지낼 때는 농바우 끄시기를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6일에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느재에서 채집한 농바우끄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현준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하지가 지나도록 비가 오지 않으며, 매우 극심한 가뭄일 때 제사를 지내고 소지를 올린 뒤 농바우에 백발정도의 동아줄을 매고 농바우를 당기며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어구여차
우여차 우여차 우여차 우리가 우여차 우제1) 지낼 때 우여차 비를 내리라고 우여차 우제 지냉꼐 우여차 칠 년 대한2) 우여차 가물음에도 우여차 비를 내리야 우여차 농사를 지지 우여차 어구여차 우여차 힘껏 댕겨서 우여차 질겁게 하고 우여차 힘껏 댕겨서 우여차 질겁게 놀고 우여차 기분 좋게 우여차 고사를 하야지 우여차 비를 하느님이 우여차 내레주지 우여차 이 바우는3) 우여차 특수한 바우여 우여차 하나님이 우여차 말핸4) 바우고 우여차 옛날 옛적 우여차 장수바우니 우여차 갑오는5) 우여차 들은가 보니6) 우여차 이 바우를 우여차 흔들기만 하면 우여차 비를 내리게 우여차 하는 바우니 우여차 동애줄을7) 우여차 묶어 가주구 우여차 시방 사람이 우여차 끌으면 우여차 뇌성 겉은 우여차 우루루루 우여차 하늘에 우여차 울며불며 우여차 구름에 우여차 모여들며 우여차 소내기가 우여차 오며는 우여차 가뭄을 우여차 해소하는 우여차 옛날에 우여차 전설에 우여차 전통 있는 우여차 명문갑옷 우여차 그런갑옷 우여차 바우로다 우여차 어그여차 우여차 소나기 우여차 오게만 우여차 계속해서 우여차 끌어주소 우여차 어그여차 우여차 우여차 우여차 에헤헤 우여차 이 마당에 우여차 고사를 하고 우여차 징 장구를 우여차 울려가면 우여차 갱변이서8) 우여차 그개를 맞고9) 우여차 한마대기10) 우여차 풍장치고 우여차 지깔지게 우여차 놀다 가면 우여차 무지꾼이11) 우여차 소내기 맞고 우여차 출출하고 우여차 도망가데 우여차 어그여차 우여차 재미 좋다 우여차 해소했네 우여차 가뭄을 우여차 해소했네 우여차 1)우제: 기우제(祈雨祭). 2)칠년 대한: 七年 大旱. 칠년 동안의 긴 가뭄. 3)바우: 바위. 4)말핸: 마련한 5)갑오는-> 갑옷은. 장수의 갑옷은. 전설에 의하면 한 장수가 농처럼 생긴 이 마을의 바위 안에 갑옷을 넣어 놓고 부인이 꺼내 보지 못하게 하기 위해 바위를 뒤집어 놓았다고 함. 6)들은가 보니: 들어있는가 보니. 7)동애줄: 동아줄. 8)갱변이서: 강변에서. 9)그개를 맞고: 둑을 막고. 10)한마대기: 한마당. 11)무지꾼: 우제(雨祭)꾼. 기우제를 드리러 나온 사람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