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 더덕골의 논매는소리-방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병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병철 |
지역개관 | 선원리는 선원, 가덕(더덕), 틀무실, 기물리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더덕골은 더덕이 많이 생산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나, 이 마을 주민들은 덕을 더한다는 의미의 더덕고을(가덕 加德)이라고 불리길 원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17일에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선원리 더덕골에서 채집한 방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병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손으로 두벌매기와 세벌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두벌매기는 지심을 뽑아 발로 논에 묻는데 제일 중요하다. 세벌매기는 배수로를 평평하게 정리하고 물길을 고르며 풀을 슬슬 뽑는다. <긴방애소리>를 하다가 일이 1/3정도 되면 <자진방애소리>로 넘어간다. 넘기는소리를 세마디 하고 <자진방애소리>만 찾는다. 논이 거의 다 매갈 때(쌈쌀 때)가 되면 앞소리가 쌈에 대한 내용을 담은 쌈싸는 소리를 한다. |
가사 | <긴 방애 소리>
에- 에이-요-호 우 어- 오-이- 에-에-에-하- 아- 오-오-오오오- 헤에 여보시오 농부님네 논이랑 매든지 마든지 방애소리나 한목지게 하여보세 에- 에이-요-호 우 어- 오-이- 에-에-에-하- 아- 오-오-오오오- 헤에 산지조종은 곤룡산이요 후지조중은1) 황해수 에- 에이-요-호 우 어- 오-이- 에-에-에-하- 아- 오-오-오오오- 헤에 패랭이 꼭지에다가 매화를 딱 붙이고 마구라기 춤이나2) 추어보세 에- 에이-요-호 우 어- 오-이- 에-에-에-하- 아- 오-오-오오오- 헤에 여보시오 농부님네 긴방아는 그만두고 자진방아를 찧어보세 에- 에이요-호 우 어- 오-이- 방-애호- 헤에 일락서산에 해는 뚝 떨어지고 월출동산에 달 돋아오네 에- 에이요-호 우 어- 오-이- 방-애호- 헤에 오늘해도 다 되였구나 골골마다 연기가 나네 에- 에이요-호 우 어- 오-이- 방-애호- <자진 방애 소리> 헤헤여라 방애호 헤--여-라 방-아호-- 저 건네 저 것이 누방애여 헤여라 방아호 강태공으 조작이로다 헤여라 방아호 도토리 깍지다 방애 확 묻고 헤여라 방아호 딸크닥 딸크닥 찧는 소리 헤여라 방아호 언제나 다 찧고 밤마실 갈까 헤여라 방아호 헤여라 방애호 헤여라 방아호 무주부사는 곤달잎쌈으로3) 헤여라 방아호 용담군수는 해우쌈으로4) 헤여라 방아호 금산군수는 천엽쌈일세5) 헤여라 방아호 우리야 농군들 상추쌈일세 헤여라 방아호 헤여라 방아호 헤여라 방아호 잘들 하네 잘들 하네 헤여라 방아호 요렇게만 하기되면 헤여라 방아호 참술 한 잔 또 나온다. 헤여라 방아호 헤여라 방아호 헤여라 방아호 헤여라 방아호 헤여라 방아호 1)후지조종-> 수지조종(水之祖宗): 물 중에서 으뜸되는 것. 2)마구라기 춤: 너울 너울 추는 춤. 3)곤달잎: 산에서 나는 곤달래라는 나물. 4)해우: 김. 5)천엽: 소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