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한글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산군 복수면 곡남3리의 한글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송석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송석례 |
지역개관 | 금산군은 충청남도의 동남단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충북 영동군, 서쪽은 논산군 및 전북 완주군, 남쪽은 전북 무주군과 진안군, 북쪽은 대전시와 충북 옥천군에 접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10일에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곡남3리에서 채집한 한글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송석례가 참여하였다. 회심곡처럼 불렀다. 집에서 책을 보고 동네에서 들으며 배웠다. 명 잣을 때나 밭을 맬 때 간혹 부르기도 했다. |
가사 | 가나다라 마바사
아차 잠깐 잊었구나 지역 니은 지글 리은 지억자로1) 집을 짓고 니은자로 사쟀더니 가 갸 거 겨 가지 없는 이내 몸 거지 없이 되었구나 거 겨 구 규 고생하던 우리 낭군 구걸하야 짝이 없네 나 냐 너 녀 나구등에 솔질하야 손금안장2) 지어 타고 조선 팔도 유렴갈까 노 뇨 누 뉴 노세 놀아 젊어 놀아 늙어지면 못 노나니 다 댜 더 뎌 달달이 오던 낭군 영영 소식이 무소식이요 도 됴 두 듀 더디도다 더디도다 우리낭군 더디도다 나 랴 너 려 날러 가는 원앙새야 너고 나하고 짝을 짓자 노 료 누 류 노류장화 임개이지 첩첩마다 임개일까 마 먀 머 며 마자 마자 만났더람 이런 고통 아니 볼 껄 모 묘 무 뮤 모지도다 모지도다 임으 환영이3) 모지도다 바 뱌 버 벼 밥을 먹다가도 또 다시 임의 생각이 나서 목이 메어 못 먹겄네 보 뵤 부 뷰 보고지고 보고지고 임의 환영을 보고지고 사 샤 서 셔 사신 행차 바쁜 길이 중간 챔4)이 늦어간다 소 쇼 수 슈 소슬 단풍 찬 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한양 손5) 내같이 가소 아 야 어 여 아시 답석 안던 손 인정없이 떨어진다 오 요 후 유 오동 목판에 거문고야 새줄 매려 타렸더니 백학선이 벌써 짐작하고 오줄오줄이 춤을 춘다 자 쟈 저 져 자자고 누웠으니 임이 올까 잠이 올까 조 죠 주 쥬 조절낭군은6) 내 낭군인데 어디 가고 영영 소식이 무소식이요 차 챠 처 쳐 차라리 이 몸하나 죽어지면 고만 이로다 초 초 추 추 초당에 깊이 든 잠 학이 소리 놀래 깨니 학이 소리 간데 없고 들리나니 물소리요 가 갸 거 겨 용천에7) 드는 칼로 이 내 목을 비어 줍소 코 쿄 쿠 큐 콜콜이 드는 숨은 어느 누가 동정할까 타 탸 터 텨 타도 타도 옳다해도 누구를 바래고 여기를 왔나 토 쵸 투 츄 토지 지신 감동하사 임이나 보게 감동하사 파 퍄 퍼 펴 임의 화영이8) 보고 싶어요 포 표 푸 퓨 폭포수 흐르난 물에 푸이 둥실 빠져 죽어 이런 고통 아니 볼 걸 하 햐 허 혀 한양 낭군은 내 낭군인데 영영 소식이 무소식이요 호 효 후 휴 호엽하게9) 먹은 맘은 단 사흘에 다 못되서 또 다시 임이 생각이 나서 목이 메어 못 먹겄네 과 거 나 너 여해과천지10) 계실 때 과부될 줄 누가 알았는가 1)지억자: 기역자. 2)손금 안장: 순금으로 만든 안장. 3)환영: 모습. 4)중간참: 중간에 먹는 밥. 5)한양 손: 한양에서 오신 손님. 6)조절낭군: 제보자에 따르면 조종 낭군, 즉 일찍 맺어진 낭군이라고 함. 7)용천: 용천(龍泉)이라는 샘. 8)화영: 모습. 9)호엽하게: 제보자에 따르면 한심스럽게, 외롭게의 뜻이라고 하나 문맥상 호협(豪俠)하게의 와전인듯 하다. 즉 호방하고 의협심있게의 뜻. 10)여해 과천지: 제보자에 따르면 나의 팔자를 내실 때라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