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효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산군 복수면 곡남3리의 효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춘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춘순 |
지역개관 | 금산군은 충청남도의 동남단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충북 영동군, 서쪽은 논산군 및 전북 완주군, 남쪽은 전북 무주군과 진안군, 북쪽은 대전시와 충북 옥천군에 접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10일에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곡남3리에서 채집한 효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춘순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상장사 아주머니가 상을 팔러 와서 부르는 것을 듣고 배웠다고 한다. 내용이 효녀노래이기에 건전하다고 해서 부를 수 있었다. 처녀적에 집안이 엄격해서 임이라는 말이 들어간 노래는 부르지도 못했다고 한다. |
가사 | 저 건네라 강간 논에1)
미나리를 심어 놓고 샘일만에 가보닌께 움석같이2) 크였구나 은장도로 드는 칼로 어리설설 비어다가 산술에3) 내리는 물에 어리설설 씻거서 새별겉은 밥솥이다 어리 살짝 데쳐서 산술에 내리는 물에 어리 설설 씻거서 은장도로 드는 칼로 어리쭝쭝 썰어서 열두가지 장물에다4) 백가지 양념에다 오무락 조무락 묻혀서 우리 아버지 밥상에도 오복소복 놔여주고 우리 어머니 밥상에도 오복소복 놔여주고 우리 오빠 밥상에도 오복소복 놔여주고 우리 올키 밥상에도 오복소복 놔여주고 우리 형지 차지는 투가리5) 차지가 되었네 우리 아버지 밥상에는 하하꽃이6) 피었구나 우리 어머니 밥상에는 허허꽃이 피었구나 우리 오빠 밥상에는 호령꽃이 피었구나 우리 올키 밥상에는 깔깡꽃이7) 피었구나 우리 아버지 노리개는 사모관대가 노리개요 우리 어머니 노리개는 막내딸이 노리개라 우리 오빠 노리개는 붓대 설대가 노리개요 우리 올키 노리개는 연지 불쿠리가8) 노리개라 우리 형지 노리개는 바늘 골무가 노리개네 이만하면 만족하지 월매나 더하야 만족하까 1)강간 논에: 강가의 논에. 2)움석: 움쑥. 부쩍 크게 자람. 3)산술: 산에서 내려오는 좋은 물. 4)장물: 간장. 5)투가리: 뚝배기. 6)하하꽃: 학꽃. 하하 웃어서 학꽃이 피었다고 함. 7)깔깡 꽃: 깔깡 잔소리를 해서 핀 꽃. 8)불쿠리: 분쿠리. 얼굴에 바르는 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