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어머님전 하시는 말씸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산군 복수면 곡남3리의 시집살이노래-시어머님전 하시는 말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910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남도 > 금산군 |
생산지역 상세 | 복수면 곡남3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2 , 시집살이노래 , 시어머님전하시는말씸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충청남도 , 충남 , 금산군 , 1993 , 1995 , 시어머님전 하시는 말씸 , 강안순 , 독창 , |
실연자 | 강안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안순 |
지역개관 | 금산군은 충청남도의 동남단에 위치한 군으로 동쪽은 충북 영동군, 서쪽은 논산군 및 전북 완주군, 남쪽은 전북 무주군과 진안군, 북쪽은 대전시와 충북 옥천군에 접하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9월 10일에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곡남3리에서 채집한 시어머님전 하시는 말씸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안순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시어머님전 하시는 말씸
메가 같이1) 지슨2) 밭을 밭을 매라고 하시는데 나무 호맹이로 가여나 갖고 한골 매고 두골 매고 삼시골을3) 매다보니 불과 같이 뜨거운 날이 메가 같이 지신 밭을 이골 매고 저골 매니 점심때가 지었구나 나무 호맹이 던져나 놓고 집이라고 들어가니 시어머님전 하시는 말씸 뭐하로야 발을 안매고 오시는고 메가 같이 지슨 밭을 삼시골을 매다 보니 점심때가 지어같고 밥을 먹으로 들옵니다 아따 그 년 비우도 좋으네 배고픈 줄을 아는 개베 메가 같이 지슨 밭은 반의 반도 못 다매고 그 말을 듣고 다시 돌아서 신을 벗어서 옆이 들고 꼬박 꼬박 산정질로4) 가다보니 까막 깐치5) 썩 나섬선 부고로다 부고로다 친정어머니 부고로다 오른손이 받어 갔고 외악손이6) 피어보니 친정어머니 가싰구나 그 신짝을 다시 신고 꼬박 꼬박 찾아가니 어머니 간 곳은 아니 없고 이내 정신이 왔다 갔다 점심 한 때 굶었다고 젊은 여자가 이 뿐인가 이만 하믄 시접살이 다시 한 번 그만 하고 한군데나 가옵시다 한강같이 짚은 물이 배꽃겉은 치매 씨고 퐁당 빠져 죽었으니 어떤 사램이 알아주냐 거친 남긔 버들이가지 걷혔구나7) 버들가지 허치나 갖고8) 썩 나섬서 물어본게 난디 없는 도령님이 그렇게 죽을거 없으닝께 다시 한번 생각을 하고 요내 손질로 따라 오게 그 도령손을 거머쥐고 다정하게 한 재 넘고 두재 넘어 삼세줄을9) 넘어가니 삼칭같은 지아집이10) 꽃밭을 피고 앉아 노네 이만하면 살은건데 그 아니 죽어서 못 볼긴데 그 도령 만내 사여갖고 백년언약을 사다보니 아들 낳고 딸을 낳고 이내 신세가 쭉 뻐드러져서 생져났네 1)메가 같이: 뫼처럼. 산처럼. 2)지슨: 잡초가 우거진. 3)삼시골: 세 골. 4)산정질: 산중의 작은 길. 5)까막 깐치: 까마귀와 까치. 6)외악손: 왼손. 7)걷혔구나: 걸렸구나. 8)허치나 갖고: 헤쳐, 흩어 갖고. 9)삼세줄: 세고개. 10)삼칭같은 지아집: 삼층같은 기와집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