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주당맥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기원의례요 > 치병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금산군 남이면 성곡리 개삼터의 주당맥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복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복수 |
지역개관 | 성곡(星谷)리는 원성곡․외말․대문거리․개삼터마을 등으로 이루어진 마을인데, 진악산이 이 마을을 감싸고 있다. 이 마을은 강 처사라는 사람이 인삼을 처음으로 발견한 곳으로 알려져 개삼터(開蔘)라고 하며, 말이 누워서 젖을 먹이는 형국이라 한다. 매년 음력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 뒤쪽에 있는 큰 고목나무에서 목신제를 지낸다. 시간은 해가 기울고 난 때이며, 아낙네 위주로, 풍물과 고사소리를 하는데, 마을의 안녕과 평온을 기원한다. 또 10월 초에는 사당에서 인삼제를 지내는데, 이틀 전에 진악산에서 산신제를 먼저 거행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8일에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성곡리 개삼터에서 채집한 주당맥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복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초상집이나 어느 곳에 갔다가 주당살이 들어 오는 경우가 있다.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고 할 때 주당살이 끼었는가 확인을 하고 주당살을 물리기 위해 주장방아를 찧어준다. 환자를 멍석말이 하고 절굿대나 작대기를 들고 동네 남자들이 둥글게 돌아가며 앞소리꾼의 소리에 맞춰 절굿대를 땅에 찧어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주장방아를 찧고 나면 신기하게도 병이 잘 낫는다고 한다. |
가사 | 아이구 아이구 아이구 애구 애구 애구
이 가정에는 이미 떠나니라 하옵니다 어서 살려주고 살려줘야지 험석지장1) 객지장2) 들주장 산신주장3) 술주장 맞었다 하옵니다4) 안살려주면 엎어놓고 데쳐놓고 두집어놓고 귀신발문도 못하게5) 맨들터니 어서 떠나 인내 가옵니다 헤라 헤라 주장방애 찧제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주장잡세 주장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주장잡세 주장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날주장 흠석주장 잡세 잡세 잡어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산주장 잡세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끈을 매여 전주자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주장잡세 주장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주장잡세 주장 헤 헤라 방아호 헤라 헤라 주장방애 찧체 헤 헤라 방아호 헤헤라 헤라 주장방애 찧체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날주장 주장잡세 주장잡아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서낭주장 서낭주장 잡어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나무주장 기목나무6) 목신잡세 목신잡아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음석주장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주장잡어 주장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다디오 다디오7) 다디오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다지오 헤다지오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헤다지오 헤 헤라 방애호 헤헤라 헤라 헤다지오 헤 헤라 방애호 다디오 다디오 다디오 헤 헤라 방애호 나는 이미 떠난 양가 떠나이 떠나인다 헤 헤라 방애호 자손 내 자손 들아 헤 헤라 방애호 잘있고 잘있거라 나는 갔네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주장방애 찧제 헤 헤라 방애호 살려주고 살려주야지 안살려주면 엎어놓고 제쳐놓고 헤 헤라 방애호 어머니 어머니 우레 어머니 살어났네 헤 헤라 방애호 어서 빨리 들어가옵소서 끔적 끔적 끔적거리네 헤 헤라 방애호 헤라 헤라 다디오 다디오 다디오 헤 헤라 방애호 1)험석지장-> 음식지장. 음식을 먹다 들린 귀신. 2)객지장: 객지에서 들린 귀신. 3)산신주장: 산에서 들린 귀신. 4)맞었다 하옵니다: 들렸다 하옵니다. 5)귀신발문도 못하게: 귀신이 들어오지도 못하게. 6)기목나무: 괴목나무. 7)다디오 다디오: 제보자에 따르면 묻어서 다진다는 뜻이라고 함. |